안녕하세요. 사동입니다!

오늘은 흔히 듣는 만큼 무서운 질병인 뇌졸중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뇌졸중은 주로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여름에도 못지않게 발병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뇌졸중에 위험이 있는 분들은 계절 상관없이 평소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뇌졸중이란?
우선 뇌졸중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뇌졸중이란 뇌의 일부분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뜻합니다.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과 같은 말로 사용됩니다.
뇌졸중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뇌의 혈관이 막혀서 손상되는 뇌경색입니다. 다른 말로 허혈성 뇌졸중, 경색성 뇌졸이라고도 합니다.
두 번째는 뇌혈관이 터져 피가 고임으로써 손상되는 뇌출혈입니다. 이는 출혈성 뇌졸중이라고도 합니다.
보통 전자로 인한 뇌졸중 발생 확률이 훨씬 많다고 합니다.
2. 뇌졸중 전조증상
그렇다면 뇌졸중 전조증상은 무엇이 있을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뇌졸중에 전조증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남으로, 아래 경우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몸에 이상이 생겼다 싶으면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립니다.
1) 언어 문제: 뇌졸중 전조증상 첫 번째는 언어적 문제입니다. 제대로 말하는 게 어려워 갑자기 말을 더듬거리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거나, 말이 더뎌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시야 문제: 뇌졸중 전조증상으로 시야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시야가 흐려지거나, 깜박거림 또는 이상한 반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얼굴 문제: 얼굴 한쪽이 펴지지 않거나, 표정이 어색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환자에게 웃어보라고 시키면, 한쪽 입술만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4) 평형 장애: 갑자기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몸이 흔들리는 등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5) 손글씨 문제: 평소와 다르게 손글씨를 쓸 때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갑자기 글씨를 쓰는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흔들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뇌졸중은 한번 발생하면 후유증이 크게 남는 병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조증상이 발견된 즉시 병원에 가 전문의와의 상담을 해야 합니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위에 작성한 증상 외에도 다양한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상한 문제가 생겼다 싶으면 병원에 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뇌졸중 예방법
그렇다면 뇌졸중은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1) 정기적인 건강검진: 당연한 방법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입니다. 고혈압과 당뇨,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지 등을 확인해 뇌졸중 위험 요소가 있는지를 알고 조기에 대처해야 합니다.
2)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이 있듯이, 뇌 질환인 뇌졸중에게도 굉장히 치명적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지나치게 긴장을 하게 됨으로, 뇌혈관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3) 규칙적인 식습관과 운동: 이 또한 당연한 말이지만, 건강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식습관, 건강한 식단, 꾸준한 운동이 필수입니다. 이는 뇌졸중에도 긍정적인 예방 효과를 줍니다.
이렇게 뇌졸중 전조즈상과 예방법에 대한 정보들을 정리해 봤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후유증이 무서운 뇌졸중, 꾸준한 운동과 건강한 식단으로 평소에 몸관리 열심히 하셔서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